[Algorithm] 시간복잡도
Updated:
시간복잡도
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입력의 함수 관계.
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
⇒ 입력하는 자료의 양과 알고리즘 실행에 걸리는 시간사이의 관계
알고리즘 성능을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최악의 경우를 찾는 것.
(못해도 이 정도의 성능을 보장한다는 의미)
1부터 N 까지의 합을 구한다고 할 때
// 1번
int n, sum = 0;
for (int i = 1; i <= n;, i++) {
sum += i;
}
System.out.println(sum);
// 2번
int n, sum = 0;
sum = n*(n+1)/2;
System.out.println(sum);
여기서 첫번째 코드는 반복문안에서만 최소 n번의 연산이 필요한 반면에
두번째코드는 n의 크기와 관계없이 한번의 연산만 한다.
⇒ 이는 첫번째 코드보다 두번째 코드가 더 작은 시간복잡도를 가지고 있고 효율적이라는 의미.
시간복잡도의 종류
Θ 표기법은 계산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계산이 복잡하다.
Big O표기법은 최대 차항만 계수없이 표기하면 되기 때문에 간편하여 자주 사용한다.
-
Big O 표기법
(Asymptotic Upper Bound) 점근적 상한
f(n)이 n0보다 크거나 같은 모든 n에서 0 이상이고 cg(n) 이하이면, O(g(n)) = f(n) -
Ω 표기법
(Asymptotic Lower Bound) 점근적 하한
f(n)이 n0보다 크거나 같은 모든 n에서 0 이상이고 cg(n) 이상이면,Ω(g(n)) = f(n) -
Θ 표기법
(Asymptotically Tight Bound) 점근적 상한과 하한의 교집합
f(n)이 n0보다 크거나 같은 모든 n에서 0 이상이고 c1g(n) 이상 c2g(n) 이하이면, Θ(g(n)) = f(n)
Big O의 시간복잡도 효율
O(1) < O(logn) < O(n) < O(n*logn) < O(n²) < O(n³) < O(2n) < O(n!)
Leave a comment